본문 바로가기

[BOJ/C++] 2231번 분해합

@hyeon.s2023. 3. 14. 21:13

문제 설명
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
출력
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
분류

브루트포스 알고리즘

Exhaustive Search (완전탐색) 
한 배열에 3000개가 있다면 그 3000개를 순서대로 전부 확인해보겠다는 전략입니다.
힘만 무식하게 쓰는 방법이라고 하여 Brute-Force Algorithm(브루트포스 알고리즘) 이라고도 합니다.
// INHA CTP 강의자료 참고

코드
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

int main() {
    ios::sync_with_stdio(0);
    cin.tie(0);
    int N;
    cin >> N;
    for (int i = 1; i < N; i++) {
        int a = i;
        int sum = i;

        while (a != 0) {
            sum = sum + a % 10;
            a = a / 10;
        }

        if (sum == N) {
            cout << i << "\n";
            return 0;
        }
    }
    cout << 0 << '\n';
}

- 전부 탐색하기 위해서 1부터 N까지 생성자가 될 수 있는 숫자를 전부 확인해본다.

- 각 자릿수를 구하기위해 10으로 나누고, 각 나머지들을 더하면서 확인한다.

 

hyeon.s
@hyeon.s :: 개발로그
목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