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yeon.s
개발로그
hyeon.s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51) N
    • Web 및 인프라 (1)
      • Web (1)
      • Terraform (2)
      • Docker (1)
    • Android (1)
      • 공부 (28)
      • 트러블슈팅 (12)
      • 프로젝트 개발 (10)
      • Compose (2)
      • 우테코 프리코스 (0)
    • Server (6) N
      • 공부 (1)
      • Spring (5) N
    • 알고리즘 (68)
      • 문제풀이 (C++,Kotlin) (54)
      • 공부 (13)
    • 디자인 (3)
      • UI (3)
    • Language (5)
      • Kotlin (5)
      • JAVA (0)
    • IT 동아리 (8)
      • UMC 3기 (Android) (7)
      • Sopt 32기 (Android) (1)

Github

글쓰기 / 관리자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hyeon.s

개발로그

[프로그래머스/Kotlin] Lv2 튜플
알고리즘/문제풀이 (C++,Kotlin)

[프로그래머스/Kotlin] Lv2 튜플

2024. 11. 5. 16:26
728x90

문제 내용
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
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
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
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문제 풀이 과정

  1. {{2}, {2,1}, {2,1,3}} 등으로 되어있는 집합을 배열로 분리한다.
  2. [2], [2,1], [2,1,3] 으로 분리한 뒤 배열 내 사이즈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한다.
  3. 각각의 배열 내에 원소들을 mutableSet에 넣는다.
  4. set을 toIntArray 하여 값을 도출한다.

코드는 아래와 같다.

class Solution {
    fun solution(s: String): IntArray {
        var answer = intArrayOf()

        var ms : MutableSet<Int> = mutableSetOf()

        var modifiedString = s.substring(1, s.length-1)
        modifiedString = modifiedString.replace("},", "/").replace("{", "").replace("}","")

        var list = modifiedString.split("/")
        var resultList = list.map{group -> group.split(",").map {it.toInt()}}

     resultList = resultList.sortedBy { it.size }


     resultList.forEach { group ->
         group.forEach{ it ->
             ms.add(it)
         }
     }


        return ms.toIntArray()
    }
}

부족한 점

코틀린 확장함수를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거 같다.
애매하게 알고 있어서 map과 split을 사용하는데에 헷갈리는 지점이 많았다.

로직 흐름

  1. {{2,1}, {2,1,3}, {2}} 로 되어있는 string에서 맨 앞 뒤 { } 를 제거한다.
  2. {2,1}, {2,1,3}, {2} 상태에서 },를 /로 대체한다.
  3. {2,1/{2,1,3/{2} 인 상태에서 {와 }를 ""로 대체한다.
  4. 2,1/2,1,3 /2 인 상태에서 /로 split 한다.
  5. [2,1],[2,1,3],[2] 인 상태로 리스트를 원소가 작은 순서대로 sort한다.
  6. [2],[2,1],[2,1,3] 인 상태에서 mutableSet에 group내 원소를 순회하며 하나씩 값을 넣는다.
    set이기 때문에 중복된 값은 넣지 않으므로 2,1,3 순서대로 들어간다.

해당 값을 toIntArray로 변경하면 값을 도출 할 수 있다.

728x90
저작자표시

'알고리즘 > 문제풀이 (C++,Kotlin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odeTree/C++] 행복한 수열의 개수 : 시뮬레이션  (1) 2024.02.09
[CodeTree/C++] 최고의 33위치 : 시뮬레이션  (0) 2024.02.02
[BOJ/C++] 1946번 : 그리디  (0) 2024.01.31
[BOJ/Kotlin] 2240번 자두나무 : DP  (0) 2023.11.14
[BOJ/Kotlin] 11659번 구간 합 구하기 4 : 누적합  (0) 2023.09.20
'알고리즘/문제풀이 (C++,Kotlin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CodeTree/C++] 행복한 수열의 개수 : 시뮬레이션
  • [CodeTree/C++] 최고의 33위치 : 시뮬레이션
  • [BOJ/C++] 1946번 : 그리디
  • [BOJ/Kotlin] 2240번 자두나무 : DP
hyeon.s
hyeon.s
이유있는 코드를 짜자

티스토리툴바